부레쓰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레쓰 천황은 5세기 말 일본의 제25대 천황으로, 닌켄 천황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일본서기》에는 즉위 초부터 잔혹한 행위를 일삼은 폭군으로 묘사되어 임산부의 배를 가르고, 엽기적인 행각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고사기》에는 이와 상반되는 기록이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역사학계에서는 게이타이 천황의 정권 교체를 정당화하기 위해 부레쓰 천황을 폭군으로 묘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실존 여부와 역사적 평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부레쓰 천황은 후사 없이 사망하여 닌토쿠 천황 계통의 황통을 끊었으며, 이후 게이타이 천황이 즉위하여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닌켄 천황의 자녀 - 다시라카 황녀
다시라카 황녀는 닌켄 천황의 손녀이자 게이타이 천황의 왕후로서 긴메이 천황을 낳아 게이타이 천황의 왕위 정통성 강화에 기여했으며, 그녀의 능묘는 니시토노츠카 고분으로 지정되었으나 니시야마즈카 고분이라는 주장도 있고, 일각에서는 백제 무령왕의 딸이라는 설도 제기되나 역사적 근거는 희박하다. - 507년 사망 - 알라리쿠스 2세
알라리쿠스 2세는 485년부터 507년까지 서고트 왕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존중, 법률 체계 정비, 교회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프랑크 왕국과의 갈등 심화로 부예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하여 서고트 왕국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부레쓰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레쓰 천황 |
칸풍 시호 | 부레쓰 천황 (武烈天皇) |
일본풍 시호 | 오하쓰세노와카사자키노스메라미코토 (小泊瀬稚鷦鷯天皇) |
휘 | 오하쓰세노와카사자키노미코토 (小泊瀬稚鷦鷯尊) |
별칭 | 오나가타니와카스자키노미코토 (小長谷若雀命) |
재위 기간 | 499년 1월 12일 – 507년 1월 7일 |
시대 | 전승 시대 (고분 시대) |
수도 | 하쓰세와케베노미야 |
능묘 | 가타오카노이와쓰키노오카노키타노미사사기 (傍丘磐坏丘北陵) |
계보 | |
아버지 | 닌켄 천황 |
어머니 | 가스가노오오이라쓰메 (웅략 천황의 황녀) |
배우자 | 가스가노이라쓰메 |
자녀 | 없음 |
생애 | |
출생 | 489년 |
사망 | 507년 1월 7일 |
사망 장소 | 하쓰세와케베노미야 (列城宮) |
즉위 | |
선대 천황 | 닌켄 천황 |
계승 천황 | 게이타이 천황 |
2. 생애
닌켄 천황 7년(494년 1월 25일) 태자로 책봉되었다. 닌켄 천황 11년(498년 9월 9일) 닌켄 천황이 사망하자, 오오미(大臣)인 헤구리노 마토리(헤구리노 마토리/平群真鳥일본어)가 국정을 전횡하였다.
황태자는 모노노베노 아라카이(모노노베노 아라카이/物部麁鹿火일본어)의 딸 가게히메(가게히메/影媛일본어)와 혼인하려 했으나, 가게히메는 이미 헤구리노 마토리의 아들 헤구리노 시비(헤구리노 시비/平群鮪일본어)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쓰바이치(쓰바이치/海柘榴市일본어)의 우타가키(우타가키/歌垣일본어)에서 시비와의 노래 대결에서 패배한 황태자는 분노하여 오토모노 가나무라(오토모노 가나무라/大伴金村일본어)에게 명하여 시비를 주살하고, 같은 해 11월에는 마토리도 토벌하였다.
498년 12월, 부레쓰 천황으로 즉위하고 오토모노 가나무라를 오무라지(大連)로 삼았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부레쓰 천황은 즉위 초부터 잔혹한 행위를 일삼았다고 한다.[7] 재위 2년(500년) 9월에는 임산부의 배를 갈라 태아를 보았고,[8] 이후로도 사람의 생손톱을 뽑아 참마를 캐게 하거나, 사람을 연못 물받이로 흘려보내 창으로 찔러 죽이거나, 사람을 나무에 오르게 해 활로 쏘아 죽이거나, 여자를 말과 성교하게 하는 등 엽기적인 행각을 일삼았다고 한다.[8] 이러한 기록은 백성을 억압하고 향락에 빠진 전형적인 폭군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무도한 행동에 관한 기술은 《고사기》에는 보이지 않는다.[7]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이러한 폭정 기록이 게이타이 천황의 정권 교체를 정당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7] 실제로 게이타이 천황은 의문스러운 상황 속에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그를 정당화하고 칭찬하기 위해 부레쓰 천황을 폭군으로 묘사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부레쓰 천황은 백성들의 고통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사치와 향락에 빠져 있었다고 한다. 그는 잦은 사냥과 유흥을 즐겼으며, 백성들이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동안에도 맛있는 음식을 탐하고 궁인들과 밤낮으로 술에 취해 있었다고 한다.[8]
닌켄 천황 재위 7년 정월 3일(494년 1월 25일) 태자가 되었다. 닌켄 천황 사후, 헤구리노 마토리(平群真鳥일본어)가 국정을 멋대로 하자, 오토모노 가나무라(大伴金村일본어)를 시켜 그를 제거하고 12월에 즉위하여 오토모노 가나무라를 오무라지(大連일본어)로 삼았다.
《고사기》에는 부레쓰 천황에 대한 부정적인 기록은 전혀 없으며,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오바세노와카사사기노미코토(小長谷若雀命, 부레쓰 천황)는 나가타니노나라노미야(長谷之列木宮)에 거하며 8년간 천하를 다스렸다. 이 천황에게는 태자가 없었으므로, 미코시로(御子代, 왕의 대리)로 오바세베(小長谷部)를 정했다. 능은 가타오카노이와츠카노오카(片岡之石坏岡)에 있다.
천황이 돌아가신 후, 대를 이을 왕을 알 수 없어 오진 천황의 5세손인 오호도노미코토(袁本杼命, 게이타이 천황)을 오미국(近淡海國)에서 불러 데시라카 황녀(手白髮命)와 혼인하게 하여 천하를 넘겨주었다.
부레쓰 천황은 재위 8년 12월 8일(507년 1월 7일)에 후사 없이 사망하였다. 《부상략기》, 《미즈카가미(水鏡)》 등에는 사망 당시 나이가 18세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레쓰 천황의 사망으로 닌토쿠 천황으로부터 이어져 온 직계 황통은 단절되었다. 이후 오진 천황의 5세손인 게이타이 천황이 즉위하여 새로운 왕조가 열렸다.
2. 1. 출생과 즉위 과정
닌켄 천황 7년(494년 1월 25일) 태자로 책봉되었다. 닌켄 천황 11년(498년 9월 9일) 닌켄 천황이 사망하자, 오오미(大臣)인 헤구리노 마토리(헤구리노 마토리/平群真鳥일본어)가 국정을 전횡하였다.황태자는 모노노베노 아라카이(모노노베노 아라카이/物部麁鹿火일본어)의 딸 가게히메(가게히메/影媛일본어)와 혼인하려 했으나, 가게히메는 이미 헤구리노 마토리의 아들 헤구리노 시비(헤구리노 시비/平群鮪일본어)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쓰바이치(쓰바이치/海柘榴市일본어)의 우타가키(우타가키/歌垣일본어)에서 시비와의 노래 대결에서 패배한 황태자는 분노하여 오토모노 가나무라(오토모노 가나무라/大伴金村일본어)에게 명하여 시비를 주살하고, 같은 해 11월에는 마토리도 토벌하였다.
498년 12월, 부레쓰 천황으로 즉위하고 오토모노 가나무라를 오무라지(大連)로 삼았다.
2. 2. 《일본서기》에 기록된 폭정
《일본서기》에 따르면 부레쓰 천황은 즉위 초부터 잔혹한 행위를 일삼았다고 한다.[7] 재위 2년(500년) 9월에는 임산부의 배를 갈라 태아를 보았고,[8] 이후로도 사람의 생손톱을 뽑아 참마를 캐게 하거나, 사람을 연못 물받이로 흘려보내 창으로 찔러 죽이거나, 사람을 나무에 오르게 해 활로 쏘아 죽이거나, 여자를 말과 성교하게 하는 등 엽기적인 행각을 일삼았다고 한다.[8] 이러한 기록은 백성을 억압하고 향락에 빠진 전형적인 폭군의 모습을 보여준다.그러나 이러한 무도한 행동에 관한 기술은 《고사기》에는 보이지 않는다.[7]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이러한 폭정 기록이 게이타이 천황의 정권 교체를 정당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7] 실제로 게이타이 천황은 의문스러운 상황 속에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그를 정당화하고 칭찬하기 위해 부레쓰 천황을 폭군으로 묘사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당시의 역사 교과서에서는 부레쓰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 의도적으로 생략되었다.
부레쓰 천황은 백성들의 고통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사치와 향락에 빠져 있었다고 한다. 그는 잦은 사냥과 유흥을 즐겼으며, 백성들이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동안에도 맛있는 음식을 탐하고 궁인들과 밤낮으로 술에 취해 있었다고 한다.[8]
2. 3. 《고사기》의 기록
닌켄 천황 재위 7년 정월 3일(494년 1월 25일) 태자가 되었다. 닌켄 천황 사후, 헤구리노 마토리(平群真鳥일본어)가 국정을 멋대로 하자, 오토모노 가나무라(大伴金村일본어)를 시켜 그를 제거하고 12월에 즉위하여 오토모노 가나무라를 오무라지(大連일본어)로 삼았다.《고사기》에는 부레쓰 천황에 대한 부정적인 기록은 전혀 없으며,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오바세노와카사사기노미코토(小長谷若雀命, 부레쓰 천황)는 나가타니노나라노미야(長谷之列木宮)에 거하며 8년간 천하를 다스렸다. 이 천황에게는 태자가 없었으므로, 미코시로(御子代, 왕의 대리)로 오바세베(小長谷部)를 정했다. 능은 가타오카노이와츠카노오카(片岡之石坏岡)에 있다.
천황이 돌아가신 후, 대를 이을 왕을 알 수 없어 오진 천황의 5세손인 오호도노미코토(袁本杼命, 게이타이 천황)을 오미국(近淡海國)에서 불러 데시라카 황녀(手白髮命)와 혼인하게 하여 천하를 넘겨주었다.
2. 4. 최후
부레쓰 천황은 재위 8년 12월 8일(507년 1월 7일)에 후사 없이 사망하였다. 《부상략기》, 《미즈카가미(水鏡)》 등에는 사망 당시 나이가 18세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레쓰 천황의 사망으로 닌토쿠 천황으로부터 이어져 온 직계 황통은 단절되었다. 이후 오진 천황의 5세손인 게이타이 천황이 즉위하여 새로운 왕조가 열렸다.3. 가족 관계
닌켄 천황을 아버지로, 가스가노오이라쓰메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부모는 모두 삼종 사촌 자매간이다. 황후는 가스가노이라쓰메(春日娘子)인데, 《고사기》에는 등장하지 않아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동복 누이로는 데시로코 황녀(게이타이 천황의 황후)와 다치바나노 나카쓰 황녀(센카 천황의 황후)가 있다.
『일본서기』에는 "남녀 없이 계승자가 끊어질 것이다"라고,[6] 『고사기』에도 "이 날을 잇는 왕이 없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6]
4. 도읍
하쓰세노나미키노미야(泊瀬列城宮)에 도읍을 정했다. 나라현사쿠라이시 이즈모의 12주 신사에 "무레쓰 천황 하쓰세노나미키노미야 터" 석비가 있다. 『고지키』에서는 "하쓰세노나미키노미야"로 기록한다.
5. 능묘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나라현가시바시 이마이즈미에 있는 가타오카노이와쓰키노오카노키타노미사사기(傍丘磐坏丘北陵)로 지정되어 있다.[12] 궁내청 상의 형식은 산 형태이다. 릉호는 겐조 천황의 방구반괴구남릉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고사기』에는 "가타오카노이시츠키오카", 『일본서기』에는 "방구반괴구릉"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원래 남북의 구별은 없다. 고레이 천황의 가타오카 우마사카릉과 이 두 능은 합쳐서 "가타오카 삼릉"이라고 불린다.
(나라현카시바시)
게이타이 천황 2년 10월에 봉장되었다.[11] 겐로쿠 탐릉 시에는 가시바시 히라노에 있던 히라노 3·4호분(소멸)이 능으로 의정되어 막말까지 보호되었다. 가모노 군페이의 『산릉지』는 야마토타카다시 츠키야마의 츠키야마 고분(반엔 릉묘 참고지)을 비정했지만, 안세이의 능 개정에서는 이를 부정했다. 막말에는 여러 설이 갈려 수릉을 하지 못했고, 메이지 22년 현릉이 지정되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 능이 고분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자연 구릉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무열의 실존 자체에 대한 의문과 함께 능의 실존 여부도 불확실하게 여겨지고 있다.[12]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모셔져 있다. 탤런트 카노 에이코의 친가로 알려진 사쿠라다야마 신사는 무열 천황을 주 제신으로 모시고 있다.
6. 실존 여부 및 평가 논란
부레쓰 천황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잔혹한 폭정으로 인해 오랫동안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13][16] 그러나 《고사기》에는 그러한 폭정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고,[13] 《일본서기》의 기록 역시 과장되거나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부레쓰 천황의 실존 여부와 역사적 평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14]
《일본서기》에 따르면, 부레쓰 천황은 임산부의 배를 가르거나, 사람의 생손톱을 뽑아 참마를 캐게 하고, 사람을 연못 물받이로 흘려보내 창으로 찔러 죽이는 등 엽기적인 행각을 일삼았다고 한다. 또한 그는 전국의 기근을 잊고 밤낮으로 궁의 사람들과 먹고 마시는 데 빠져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잔혹 행위에 대한 기술은 《고사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13]
이러한 차이에 대해, 부레쓰 천황의 뒤를 이은 게이타이 천황의 정권 교체를 정당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레쓰 천황을 폭군으로 묘사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13][16]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는 《일본서기》의 폭정 기록이 유교적 왕도 정치 사상에 따라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7][18] 그는 고대 중국의 하나라의 걸왕이나 은나라의 주왕의 폭정 기사 역시, 왕조 교체의 정당화를 위한 조작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일본서기》 편찬자가 단절을 일으킨 부레쓰 천황을 이들과 같은 폭군으로 묘사했다고 주장했다.[17][18]
《일본서기》는 부레쓰 천황을 "빈조제악, 불수일선(자주 여러 악을 짓고, 하나의 선도 닦지 않았다)"라고 평가했지만, "법률에 밝고, 해가 질 때까지 집무를 행하며, 무고한 죄는 반드시 간파하고, 그것을 풀었다. 재정의 심리는 정을 얻었다"라는 상반되는 기사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13][16]
부레쓰 천황의 이름인 '오하쓰세노 와카사자키'는 닌토쿠 천황과 유랴쿠 천황의 이름 일부를 합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치세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사가 거의 없다는 점도 실존에 대한 의문을 더한다. 또한 황후인 카스가노 이라츠메의 출신이 불분명하고 자녀가 없었다는 점 역시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15]
7. 기타
502년, 중국 남조의 양나라에 사신을 파견한 "왜왕 무(武)"가 부레쓰 천황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9] 《삼국사기》에는 500년 왜군이 신라를 공격하여 장령진을 함락시켰다는 기록이 있는데,[10] 이 역시 부레쓰 천황 시대의 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관련성은 불분명하다.
부레쓰 천황 사후, 누이인 다시라카노 황녀(手白香皇女)가 게이타이 천황의 황후가 되어 긴메이 천황을 낳음으로써, 이후의 황통을 잇게 되었다. 『일본서기』에는 부레쓰 천황의 재위 기간에 대한 기록이 없고, 『후소략기』, 『미즈카가미』 등에는 18세로 기록되어 있으나 불분명한 점이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Jinnō Shōtōki
https://books.google[...]
1980
[3]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4]
서적
Nihongi
1998
[5]
문서
[6]
인용
古事記
[7]
서적
日本書紀(上)
中公文庫
[8]
서적
日本書紀(上)
中公文庫
[9]
웹사이트
漢籍電子文献資料庫
http://hanchi.ihp.si[...]
台湾中央研究院
[10]
인용
三国史記
[11]
서적
事典陵墓参考地 もうひとつの天皇陵
吉川弘文館
2005
[12]
서적
天皇陵の謎
文春新書
2011
[13]
서적
日本の歴史〈1〉神話から歴史へ
中公文庫
[14]
서적
歴代天皇・女帝 早わかり手帖
三笠書房
2005-02-01
[15]
간행물
継体天皇と王統譜
同成社
[16]
간행물
謎の大王 継体天皇
文藝春秋
[17]
서적
古代天皇家の物語
新人物文庫
2009
[18]
서적
直木孝次郎古代を語る〈3〉神話と古事記・日本書紀
吉川弘文館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